본문으로 바로가기

[책] 타인의 고통에 응답하는 공부

category 리뷰/책 2024. 1. 31. 09:26

타인의 삶을 내 경험에 따라 재단하는 것은 위험하다. 특히 사회적 약자를 대하는 일은 고 황현산 선생님의 책 제목처럼 ‘내가 모르는 것이 참 많다’고 자기 경험치의 한계를 인정하는 데에서 시작해야 한다. 전선은 하나가 아니다. 

 

타인을 모르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다고 착각하여 상처를 주거나 아예 물러서서 뒷걸음질치기도 한다. 갈수록 나는 후자가 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다. 그렇다 해도 타인, 특히 소수자들의 고통을 외면한다면 그들의 절박함을 들어줄 이는 어디 있을까. 

 

합리성은 종종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얼마만큼 있는가로 결정되기에, 기득권은 사회의 모든 갈등에서 더 ‘합리적인’ 주장을 하기 쉽습니다. 근거는 지식의 형태로 존재하고, 지식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원과 시간이 투여되기 때문입니다. 

정치인들은 선심성 공약을 남발하지만 선거철이 지나면 자기 밥그릇 챙기기 바쁠 뿐 공약을 이행하려고 노력하는 경우를 거의 보지 못했다. 차별 금지법도 몇 년째 지지부진하지 않은가. 

 

개인적으로 가장 뜨끔했던 말은 '피해자는 ~~~해야 한다.'라는 고정 관념에 대한 것이었다. 나도 그렇게 바라보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싶었던 것이다. 피해자도 일상을 유지해야 하고 삶을 살아가야 하는 사람이다. 피해자라고 해서 주눅들어 생활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한 사람의 인생을 판단하는 것은 시간(역사)적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도 재인식하게 된다. 어떤 사람도 완벽한 사람은 있을 수 없다. 선과 악으로 구분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테니 말이다. 

 

솔직히 천안함 사건을 제대로 들여다보려고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다. 저자도 관련 책을 저술할 때 무척 두려웠음을 고백했다. 한편으로는 세월호가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천안함이 있는 식으로 이분법적으로 생각했던 것은 아닌가 싶어 반성하기도 했다. 특히나 두 사건은 정치적인 색깔이 덧입혀져 사건의 본질적인 이해에는 가닿기 어려웠던 측면이 존재했다. 가까운 시일 내 주저했던 이 책을 이제야말로 읽어보려고 한다. 

 

저자의 시선은 논리적이고 냉철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따뜻함을 잃지 않는다. 

 

타인의 고통을 온전히 알 수 없지만 실망하지 말자고 한다. 고통에 응답하려는 관심과 노력이 중요하다. 

 

고통이라고 하는 건 개인의 몸 안에서 발생하는 것이고, 그 고통은 전달되지 않아요. 그래서 누구나 외롭고 힘든 면이 있는 거잖아요. 사람들이 타인의 고통에 무심하다는 것이 실제로는 그렇게 놀랍지 않고, 오히려 당연하다는 걸 전제로 할 필요가 있어요. 그러지 않으면 자꾸 실망하게 되고 세상을 경멸하게 되는 것 같아요. 그렇다면 한 개인의 몸 안에 있는 고통, 슬픔이라고 하는 것들이 사회적 고통이 되고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가 되는 계기는 무엇일까요. 저는 그 고통에 누군가가 응답하기 시작할 때라고 생각해요. 그 응답을 잘해낼수록, 많은 사람이 함께할수록 그 고통은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가 된다고 생각하고요. 

'리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1945년 해방 직후사  (0) 2024.02.02
[책] 도시로 보는 동남아시아사 2  (2) 2024.01.31
[책] 빈곤 과정  (2) 2024.01.31
[책] 갑골문자  (1) 2024.01.21
[책] 2023 이상문학상 작품집  (0) 2024.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