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책] 2023 이상문학상 작품집

category 리뷰/책 2024. 1. 17. 11:36
 
홈 스위트 홈(제46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2023년)
1977년 1회를 시작으로 문학사에서 중요한 작가와 작품을 주목해 선정했던 이상문학상이 어느덧 46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2023년 제46회 이상문학상 심사위원회(권영민ㆍ구효서ㆍ김종욱ㆍ윤대녕ㆍ전경린)는 한 해 동안 국내에 발표된 중ㆍ단편소설을 엄선하여 가장 많은 지지를 얻었던 최진영의 「홈 스위트 홈」을 대상 수상작으로 선정했다. 제46회 이상문학상 작품집에는 대상 수상작 「홈 스위트 홈」과 최진영의 자선 대표작 「유진」 외에도 5편의 우수작이 수록돼 있다. 이들 모두가 소설의 구성적 완결성과 독특한 기법이 돋보였고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벌어진 재난 상황과 위험사회의 징후를 밝혀내는 작품들도 눈에 띄었다. 우수작은 다음과 같다. (가나다 순) ㆍ 김기태 「세상 모든 바다」 ㆍ 박서련 「나, 나, 마들렌」 ㆍ 서성란 「내가 아직 조금 남아 있을 때」 ㆍ 이장욱 「크로캅」 ㆍ 최은미 「그곳」 ◈ 대상 수상작 「홈 스위트 홈」 줄거리 주인공 ‘나’는 말이 되지 않는 것을 믿는다. 이를테면 시간은 과거, 현재, 미래로 나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무언가가 폭발해 파편적으로 공존한다고 믿는다. ‘나’는 분명히 일어난 적 있으나 아무도 모르는 일에 대해 자주 생각한다. ‘나’가 기억하는 최초의 집에는 우물이 있었다. 얼마 뒤 ‘나’는 그 집을 떠났고, 새로 이사 온 사람들은 기와집을 허물어 벽돌집을 짓고 우물을 메워 마당에 잔디를 깔았다. ‘나’가 기억하는 최초의 집은 그렇게 사라졌다. 시간이 흘러 그 집 앞을 지나던 ‘나’는 엄마에게 기와집과 우물에 대해 떠오른 기억을 말한다. 엄마는 놀라며 ‘내’가 그 집을 기억하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답한다. 그러나 ‘나’는 분명히 기억하며, ‘나’의 기억은 ‘나’의 선택이 아닌 기억이 ‘나’를 선택해 남아 있는 것 같다고 느낀다. ‘나’는 연인인 어진과 동거를 하고 있다. 동거 생활한 지 삼 년째에 ‘나’와 어진은 위기를 맞는다. 바쁜 일상에 치여 힘겨워하는 어진과 그런 어진의 짜증에 ‘나’도 지쳤기 때문이다. ‘나’와 어진은 이별을 선택하는 대신 주변 환경을 바꾸기로 결심하고, 충남 보령의 작은 빌라로 이사한다. 앞뒤 창으로 계절마다 색이 변하는 뒷동산과 구름처럼 희뿌연 해수면이 보이는 새로운 집에서 잃어버리는 여유를 되찾아 간다. 어진은 직장을 옮기고, 프리랜서인 ‘나’는 작업 시간을 조정하며 고되었던 일상을 환기한다. 그러나 어진과의 결혼을 앞둔 무렵, ‘나’는 암 진단을 받는다. ‘나’는 항암 치료를 끝냈지만 일 년이 지나기도 전에 암이 재발한다. 의사는 3차 재발을 경계해야 한다고 말한다. ‘나’는 암 진단을 받은 것이 오로지 ‘나’의 잘못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고통이 심할 땐 차라리 죽는 게 낮겠다는 생각을 할 정도였던 ‘나’는 병원 로비에서 누군가의 말을 듣고 멈춰 선다. 아직 젊은 사람이 어떻게 살았기에 그런 병에 걸렸느냐는, 딱하다는 듯 혀를 차며 아픈 사람에게 책임을 묻는 중년 남녀의 대화였다. ‘나’는 집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내’가 돌아가고 싶은 곳은 어디에도, 아직 없다. ‘나’는 그간 암이 재발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외면했던 것과 다르게, 그 가능성을 직면하고 직접 미래를 선택하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돌아가고 싶은 그 ‘집’을 직접 짓기로 한다. 그곳에서 비 오는 날 부추전을 만들어 먹을 거라는 미래를 기억하면서. ‘나’는 엄마와 함께 폐가를 수리하며 ‘내’가 기억하는 집을 완성한다. 이삿짐을 옮기기 전 집을 바라보며 앞으로 펼쳐질 ‘나’의 미래 역시 기억한다. 폭우의 빗방울 하나, 폭설의 눈 한 송이, 해변의 모래알 하나가 모여 단단해질 ‘나’의 스위트 홈을 말이다.
저자
최진영, 김기태, 박서련, 서성란, 이장욱, 최은미
출판
문학사상
출판일
2023.02.10

국내 문학 수상작 작품집을 오랜만에 읽었다. 2021년 이효석 문학상 수상집에서 이서수라는 작가를 알게된 수확이 있었으나 이후 문학상 수상집은 더 읽지 않았다. 한국 소설은 거듭하여 읽으면 비슷한 서사에 상황들이 반복되어 쉬이 질리기 때문이었다. 작년에 이 책의 전반적인 수준이 괜찮다는 후기를 보고 찜해 두고 있었는데 해를 지나 읽게 되었다. 

 

역시 사람들의 눈은 다르지 않았는데 나도 작품들이 전반적으로 괜찮았다. 

 

 

대상작 주인공인 최진영은 이름은 익숙한데 작품을 경험해본 적은 없었다. 작가의 이력을 보니 나와 비슷한 나이 또래였다는 것을 알았고 책에 실린 작가의 글 속에서도 기억의 패턴들이 나로 하여금 동질감을 느끼게 했다. 

 

나는 죽어가고 있다. 살아 있다는 뜻이다. 죽음을 죽음 자체로 두기 위해 오래 바라볼수록 두려움보다 슬픔이 커졌다. 두려움은 막연했으나 슬픔은 구체적이었다. 거기 나의 희망이 있었다. - P26

 

말기 암에 걸린 나는 보령에 폐가를 수리하여 이사를 하려고 한다. 엄마는 몸도 아픈데 왜 굳이 그런 곳에서 살려고 하는지 나의 마음을 이해를 하지 못한다. 죽어가는 지금, 나는 불안한 미래를 직시하며 바라본다. 두려움과 슬픔은 다르다. 적어도 슬프다는 것은 막연한 감정이 아니라 좀 더 구체적인 명징성을 갖고 있다. 거기에 희망을 느끼는 나의 마음이 뭔지 알 것 같아서 울컥했다.

 

시간은 발산한다.

과거는 사라지고 현재는 여기 있고 미래는 아직 오지 않은 것이 아니라, 하나의 무언가가 폭발하여 사방으로 무한히 퍼져나가는 것처럼 멀리 떨어진 채로 공존한다. 과거는 사라지지 않는다. 기억하거나 기억하지 못할 뿐. 미래는 어딘가에 있다. 쉽사리 볼 수 없는 머나먼 곳에. 나는 종종 과거와 미래를 헷갈리는 것만 같다. 과거의 일이라고 기억하는 상황을 현재에 그대로 겪을 때가 있으며 미래의 일을 짐작하여 이야기하면 예전에 그런 일이 있었지 않았느냐는 대꾸를 듣는 경험들. 인류가 동시에 과거, 현재, 미래라는 개념을 망각한다면 어떻게 될까. 혼란에 빠질까? 누군가는, 아주 찰나일지라도, 평생 경험한 적 없는 엄청난 자유를 실감할지도 모른다. 출생과 죽음, 성장과 노화, 발생과 소멸을 시간이란 개념 바깥에서 이해하고 싶다. 얼음이 물이 되고 물이 수증기가 되듯 바뀌어 달라지는 것. 시간을 배제하고 변화를 말할 수 있을까. 죽음 다음이 있다면, 어쩌면, 시간에서 해방된 무엇 아닐까. - P15

 

그곳에 살았던 사람은 어떤 사람이었을까. 과거의 사람이 남기고 간 물건은 그 사람을 말해주는 것인지도 모른다.

종종 과거와 비슷한 상황의 일을 겪으면 혼란스러울 때가 있었다. 특히나 잊어버리고 싶었던 기억을 또 마주하는 순간 지금이 과거인지, 현재인지, 미래인지 아득해진다. 그럴 때는 주저앉아 잠시 그런 시간이 지나가기를 기다릴 뿐이었다. 미래에 또 그런 순간이 올까, 아닐까. 오만가지 생각을 하며 그 시간을 견디고 살아낸다.

 

우수상 작품들도 대부분 훌륭했는데 나는 그 중 특히 김기태의 <세상 모든 바다>, 이장욱의 <크로캅>이 좋았다.

 

 

<세상 모든 바다> 에서는 지금은 대세가 된 K-POP 그룹의 공연장을 찾은 팬인 자이니치 '하쿠'와 한국인 '백영록'의 교류(연대)를 보여준다. 하쿠의 부모는 자이니치 3세대이고 본인은 일본 국적을 취득했지만 유학생으로 서울에 왔다. '하쿠'는 '백'이라는 성을 일본식으로 음독한 성이라고 하니 백영록과의 만남이 우연이라고 하기에는 필연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아마도 방탄소년단이 기점이었을 것 같은데 가수 뿐 아니라 아이돌 팬들이 세계 문제에 관심을 갖고 목소리를 내며 기부를 하기도 하는 등 긍정적인 활동들을 하는 것 말이다. 세모바(SMB)의 멤버들도 그런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한쪽에서는 원전을 반대하며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는 동안 다른 한쪽에서는 발전해야 생존한다는 절박감으로 군청 앞에서 행인들에게 전단지를 건네며 원전 반대 무효를 이야기한다. 하쿠는 이 두 가지 상황에 부딪쳤을 때 피하고 뒷걸음질쳤다. 나는 과연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며 행동할 수 있을까 묻게 되었다.

 

그 사정에서 나의 몫에 대해 무언가를 생각해 내려 했으나 잘되지 않았다. 큼지막한 파도 하나가 방파제에 부딪쳤다. 하얀 물보라가 세차게 튀어 올랐다. 얼굴에 와 닿는 차가운 물방울의 감각. 실제로 닿았을까. 느낌뿐이었을까. 분명한 건 내가 뒷걸음질을 쳤다는 것이다.

 

 

<크로캅>은 결말까지 멈출 수 없는 흡인력 있는 이야기였다. 아마 재미만으로 따지면 이 작품이 최고일 것이다. 격투기 링 위에 선 두 남자가 사투에 가까운 격투를 벌인다. 나는 수비자일까, 공격자일까. 입장의 차이에 따라 나는 수비자가 되기도 하고 공격자가 되기도 하는 것이 아닐까. 나는 경기장 밖의 일상에서도 혼란을 겪고 있다. 

 

마스크를 쓴 유령을 본 적이 있는가. 유령처럼 그자는 스르르 걸어다닌다. 표정도 없이 걸어다닌다. 계단으로 걸어 다니고 엘리베이터를 타고 오르내리고 거리를 휘적휘적 돌아다닌다. 원한을 품은 자답게, 당신을 노리는 자답게, 당신의 죽음을 기다리는 자답게, 당신의 주위를 떠나지 않는다. 하이에나가 사체 주위를 배회하듯이, 독수리가 죽어 가는 동물의 머리 위를 선회하듯이. - P201

 

나는 상대방을 공격자이자 침입자로 규정하고 행동한다. '그는 나를 죽일지 몰라. 그럼 어쩌지?' 루쉰의 광인일기가 오버랩되기도 했다. 나는 창문에 창살을 설치하고 보안 장치를 달며 방비를 한다. 그런데 그런다고 완벽할까? 완벽한 시스템이라는 것은 없을텐데. 마음만 먹으면 이 혼란한 세상에서 내가 온전히 버틸 수 있을 것인가. 심지어 나를 공격하는 이는 윗집이자 과거 같은 회사에 다녔던 동료였던 사람이다. 그들은 왜 철천지 원수가 되었을까. 

 

윗집.

적의 집.

동료였으므로 더욱 가증스러운 자의 집.

당신을 적의와 증오와 분노의 나락으로 빠뜨린 자의 집.

(...)

혼자 정의로운 척, 혼자 외로운 척, 혼자 개폼을 잡고 술잔을 비운 뒤에, 그자는 혼잣말처럼 중얼거렸지. 아.... 이 새끼가.... 저주받을 새끼가.... 왜 그렇게 생각이 없다.... - P221~222

 

 

마지막으로 이야기하고 싶은 작품은 박서련의 <나, 나, 마들렌>이다. 

 

목이 잘리는 꿈을 꾸고 일어나서 옆을 보니 내가 있었다? 어느 쪽이 원본일까? 나인가? 나를 쳐다보는 그 사람인가? 아무튼 그 때 마들렌은 옆에 없었다. 마들렌은 소설 창작 수업에서 처음 만난 친구다. "나 언니네 집에 가면 안 돼요?" 하더니 내 집에 눌러앉은 마들렌. 마들렌은 소설가에게 성추행을 당해 그를 고소했고 재판이 열렸다. 마들렌은 나에게 증언을 요청하는데...

 

가끔 내가 둘 이상이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많은 일을 하고 싶은데 몸은 하나라서 해낼 수 있는 일은 한계가 있을 때다. 그런데 내 몸이 둘 이상이라면 나는 과연 같은 생각을 지닌 인간일까? 같은 인물이 다른 장소에서 각각의 일을 한다니... 

 

소설가의 성추행 이야기를 보면서는 이서수의 <미조의 시대>가 생각났다. 거기서 수영이란 인물이 나오는데 그녀는 IT 회사에서 일하며 회사 오너의 요구에 따라 성인 웹툰을 그리고 있다. 가면 갈수록 가학적인 말도 안되는 스토리와 그림을 그리라는 요구에 원형탈모증까지 겪어가며 꾸역꾸역 일을 해나간다. 작품에는 육체적인 접촉이 나오지는 않지만 왠지 그게 있을 것 같아서 불쾌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었다. 

돈과 권력, 지위를 이용해 상대를 누르는 행위는 너무나 흔한 일이지만 이것이 먹고 사는 문제와 연결되면 대체 어찌해야 한단 말인가. 돈이냐, 예술이냐.

 

나는 나를 향해 결심에 찬 눈빛을 보냈다. 나 역시 나에게 고개를 끄덕여 결의를 표했다. 이것 말고는 역시 방법이 없는 걸까. (...) 나는 싱크대 하부 장을 열어 식칼을 꺼내와 나와 나 사이에 내려놓았다. 나와 나는 식칼을 가운데 두고 공손히 무릎을 꿇었다. 곧 또 하나의 내가 집으로 돌아올 시간이었다. - P166

'리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빈곤 과정  (2) 2024.01.31
[책] 갑골문자  (1) 2024.01.21
[책]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론  (1) 2024.01.15
[책] 도시로 보는 동남아시아사  (1) 2024.01.08
[책] 포르모사 1867  (0) 2024.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