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책] 집사 3 - 칸의 후예들

category 리뷰/책 2024. 2. 6. 10:57

몽골의 역사 집사 시리즈 3권을 읽었다. 한반도와 관련한 몽골의 역사는 사실상 집사 2, 3권에 집중되어 있다. 그래서 익숙한 이름들과 흥미로운 이야기들로 시작 전부터 이목을 끈다.

 

어쨌든 나는 한반도와 관련된 역사를 읽는데 목적이 있어서 이번 3권으로 시리즈 읽기는 일단락짓고 이후 중국사 읽기로 넘어가려고 생각했다. 집사 남은 시리즈는 나중에 필요할 때 읽어봐도 될 것이기 때문이다.

 

3권의 핵심 주제는 칭기스칸 이후의 역사다. 구체적으로는 우구데이, 구육, 뭉케, 쿠빌라이, 티무르의 다섯 명의 대칸과 주치, 차가타이, 톨루이로 대칸의 자리에 오르지 못했지만 중요한 역할을 한 3명의 제왕들의 역사를 담고 있다.

 

칭기스칸은 능력으로는 톨루이가 가장 뛰어나다고 여겨 그를 차기 칸으로 생각했으나 형제 간 분란이 일지 않도록 우구데이에게 보좌와 제위에 관한 사무를 맡기고 톨루이에게는 가옥과 목지, 재산, 군대 등 실권을 맡겼다. 

 

중심 인물을 기반으로 아들딸, 손자들 이하 계보와 정비(카툰)와 후비에 관한 이야기, 연대기별 전투를 비롯한 사건의 역사, 주인공의 성격을 보여주는 일화들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나는 인물의 성격을 보여주는 일화들이 재미있었다. 비사에서는 이런 일화들이 더 많이 나올 것 같지만 정사에서 보여지는 일화란 또 다른 맛이 있을 거란 생각 때문이다.

 

우선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것은 집사를 쓴 라시드 앗 딘의 제왕(주군)이었던 가잔 칸이 톨루이의 후손이라는 점이다. 그렇기에 톨루이 칸은 더 미화시키고 다른 형제의 기록은 상대적으로 낮춰 평가하는 측면이 있다. 특히 우구데이 칸의 경우 '애주가'와 관련된 일화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칭기스칸도 술을 좋아하는 우구데이를 많이 혼냈다고). 또한 우구데이 칸의 정비들 중 가장 많은 아들을 낳은 투레게네에 대한 묘사도 부정적이다. 

 

신기한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구데이 칸의 역사가 3권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그의 일화들이 수십개가 실려 있다는 사실이다. 그는 성정이 무던하고 포용력이 있었다는 평가를 받는데 반우구데이 정서를 숨길 수 없을 정도로 관련 일화가 많이 실린 것을 보면 정사이기 때문에 이런 일화들을 내치지 않고 싣지 않을 수 없었음을 느끼게 한다.

 

우구데이 칸은 칭기스칸의 셋째 아들로 13년간 집권하면서 키타이 왕국에 출정하여 1234년 금나라(집권자: 알탄 칸)를 멸망시켰다.  

 

아주 늙고 병든 어떤 사람이 카안의 어전에 찾아와서, 자기에게 금 200발리시를 오르탁의 형식으로(bi-sabili ortâqi) 달라고 청원했다. [카안이] 주라고 명령하자 신하들은 "이 사람의 일생은 하루의 저녁에 다다른 셈입니다. 그는 거처도 자식도 친척도 없고, 아무도 그의 처지를 아는 사람이 없습니다"라고 아뢰었다. 카안은 "그는 일생 동안 이러한 희망 속에서 살았고 [이러한] 기회를 잡으려 했는데, 그를 나의 궁전에서 낙담케 한 뒤에 돌려보낸다는 것은 고귀한 뜻과는 거리가 멀 뿐만 아니라, 지고한 신께서 내게 허락해 주신 이 같은 제왕의 지위에도 어울리지 않는 일이다. 그가 청원한 것을 신속하게 그에게 주도록 하라. 그가 최후의 순간에 이를 때까지 자신의 희망을 성취하지 못할 수도 있지 않은가?" 라고 말했다. - P121

 

앞서도 이야기했지만 우구데이는 포용력의 아이콘이었다고! 위의 일화에서도 보듯 가난하고 어려운 백성들을 내치지 않고 보듬었다는 기록이 많았다. 다만 기록으로 볼 수 있을 뿐이고 보여주기 식일 수도 있으며 과장이나 허위가 있을 수도 있지만 그럼에도 기록이 남았다는 것은 백성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겼던 것 같다.

 

주치 칸은 칭기스칸의 첫째 아들로 칭기스칸이 죽기 전 사망했다. 정비인 백투트미시 푸진과 사이가 좋았던지 대략 40명의 자손이 있었다고 한다. 차가타이와 우구데이는 사이가 안 좋았는데 그가 둘 사이에서 화합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고 전한다. 그가 있을 때 형제들과 함께 호라즘을 정복하였으며 칭기스칸이 북방 지역 정복을 명령했으나 이를 결국 이행하지 못한 채 사망하였다. 하지만 둘째 아들인 바투가 울루스에서 칸으로 즉위하면서 북방 지역에 있던 대부분의 왕국을 정복하였다(바투는 손자인 시레문을 후계자로 정했다).

 

차가타이 칸은 칭기스칸의 둘째 아들로 우구데이 대칸 시기 본인이 형인데도 동생을 깍듯이 대했다.

 

어제 나는 그와 속보로 말 달리기 시합을 했는데, 내가 카안과 시합을 한다는 것이 도대체 무슨 법도인가? 그랬기 때문에 나는 죄를 지었고, 자신의 죄를 자백하고 야사에 처해질 수 있도록 온 것이다. 나를 처형할지 아니면 곤장을 칠지 명령을내려 주시오"라고 말했다. 우구데이 카안은 이 말에 부끄러움을 느꼈고 그에게 더 많은 애정을 느끼며 공손하게 대하였다. 그래서 그는 사람을보내어 "이것이 무슨 말인가? 그는 나의 형이다. 이렇게 사소한 일에 어찌해서 신경을 쓰는가?"라고 하였다. 그러나 그는 듣지 않았고, 마침내 카안이 그의 목숨을 살려 주는 대신 그는 말 아홉 필을 바치고 고두한다는 데에 동의하였다. 또한 카안이 차가타이의 목숨을 용서해 주고차가타이는 면죄의 대가로 고두한다는 사실을 듣고 또 알도록 하기 위해 비틱치들은 이러한 내용을 선언하였다. 그러고 나서 비로소 그는 오르두에 들어와 유창한 언변으로 모인 사람들에게 그 일화를 이야기했다. 이런 연유로 그들은 더욱 합심 · 단합하게 되었고, 다른 친족들은 [카안의] 명령서(khatti farman)에 머리를 조아리고 복종의 길을 다졌다. - P237

 

톨루이 칸은 칭기스칸의 넷째 아들로 이후 몽골의 역사에서 중요한 자손들을 내놓는다. 뭉케, 쿠빌라이, 아릭 부케 등. 고려의 역사와도 깊숙이 연관 있는 이름들이라 아마 친숙할 것이다. 톨루이 칸 때는 키타이 일부를 정벌하고 부하라, 사마르칸트 지역, 후라산 정벌이 이어졌다. 그는 어떤 의식을 치른 뒤 우구데이 칸 대신 병을 얻어 1233년 사망했다고 하는데 그만큼 우구데이에게는 각별했음을 방증하기 위한 이야기라고 여겨진다. 

사실 톨루이 칸의 업적도 훌륭하나 그 어머니인 소르칵타니 베키의 현명함과 강단이 돋보였음을 지나칠 수 없다. 이후 몽골의 역사를 좌지우지하는 아들들이 대칸의 자리에 올랐으니 말이다. 

 

구육 칸은 우구데이의 첫째 아들이다. 1245년 후계자 선정을 위한 쿠릴타이가 소집되었으나 바투가 후계자로 지명한 시레문은 나이가 어려서 성년에 이르지 못했기에 구육 칸이 대칸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그는 이슬람 종교를 거부하고 기독교를 받아들여서 그가 다스리던 때 기독교가 가장 융성했다고 한다. 

 

뭉케 칸은 톨루이 칸의 큰 아들로 바투가 그를 적극 추대하면서 대칸의 자리에 올랐다. 우구데이 칸 일족 중 일부의 사람들이 음모와 반역을 기도하여 관련자들을 잡아서 소탕했다. 그래도 혐의가 있는 자들만 처벌하고 그렇지 않은 자들은 용서했다고 한다. 그는 특히 백성들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노력했고 귀족이나 행정관들이 뇌물을 받지 못하게 하고 아랫 사람들을 관용적으로 대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안정적인 치세를 이끌었다.

 

쿠빌라이 칸은 톨루이 칸의 넷째 아들로 아릭 부케가 알타이에서 기습적으로 칸의 자리에 올랐으나 1260년 다른 이들의 추대 하에 정식으로 대칸의 자리에 올랐다. 때문에 즉위하고 나서도 아릭 부케와 전투를 벌여야 했다. 

 

‘쿨루카나 일‘ 즉 쥐해 - 662[/1264)년에 해당 - 에 그가 카안의 어전에 도착했을 때, 많은 수의 군대를 배치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또한 그로 하여금 고두(tikishmishi)하라는 명령도 있었다. 관례에 따르면 그같은 경우 고두를 할 때에는 [모포로 된] 천막문을 죄인의 어깨에] 씌워 놓는데, [아릭 부케는] 그런 식으로 뒤집어쓰고 고두를 했다. 그리고 한참 뒤 허락이 내려지자 천막 안으로 들어갔는데, 그는 비틱치가 있는 곳에 자리를 잡았다. 카안은 잠시 그를 바라보았다. 격렬한 감정과 형제에 대한 사랑이 그를 흔들었다. 아릭 부케는 울었고 카안의 눈에서도 눈물이 흘렀다. 그는 눈물을 닦으면서 "오, 사랑하는 형제여! 이 반란과 분란에서 우리가 옳았는가, 아니면 자네들이 옳았는가?"라고 물었다. [아릭 부케는] "그때는 우리가 옳았지만 오늘은 당신들입니다"라고 대답했다. 그때 훌레구 칸이 보낸 칭쿠르(Chingqúr)라는 사신이 그곳에 참석해 있었다. 그가 돌아가 그 상황의 모습을 그의 어전에 설명했다. 훌레구 칸은 카안의 어전으로 전갈을 보내어 "야사를 생각할 때 어떻게 우리 일족을 이런 식으로 고두시키게 허락을 내려서 형 · 아우들에게 모욕을 줄 수 있단 말입니까?" 라고 했다. 카안은 그 말에 동의하고 "훌레구가 옳다. 내가 모르고 그런 행동을 하였다"는 답신을 보냈다. 그 뒤 아릭 부케를 일년 동안 자기 앞으로 불러들이지 않았다. - P390

 

티무르 칸은 쿠빌라이 칸의 아들인 짐김의 아들이었다. 쿠빌라이 칸이 죽고 난 뒤 어머니가 일족의 어른인 바얀에게 보냄으로써 즉위에 대한 안정성을 미리 확보했고 쿠릴타이 개최 후 자연스레 그에게 대칸 자리가 추대될 수 있었다.

그는 군대와 왕국 정비를 위해 왕자와 아미르들을 각 지방에 파견하고 재상을 임명하여 통치를 하게 했다.

 

2권은 칭기스칸이 집권하는 과정을 비롯해 그의 일대기를 다루었다면 3권은 몽골이 가장 넓은 치세를 이루었을 때까지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아무튼 이렇게 집사 시리즈 3권 리뷰를 마무리한다. 


'리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쾌락의 혼돈  (0) 2024.02.26
[책] 침묵  (0) 2024.02.19
[책] 1945년 해방 직후사  (0) 2024.02.02
[책] 도시로 보는 동남아시아사 2  (2) 2024.01.31
[책] 타인의 고통에 응답하는 공부  (0) 2024.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