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책] 토지 4

category 리뷰/책 2022. 9. 30. 13:20
삼월은 출산을 했다가 아이를 잃는 슬픔을 겪는다. 서희에게 유일하게 버팀목이 되었던 어른인 수동이가 죽으면서 서희는 나무를 잃는다. 삼수는 두리를 강간하고 삼월을 폭행하는 몹쓸 짓을 하고 김훈장은 조준구와 노선을 달리 하며 갈라선다. 조준구는 자신을 위협하던 세력들을 모조리 제거한다. 삼수는 마을 사람들을 배신하며 조준구에 빌붙었지만 그는 이제 삼수가 더 이상 불필요하고 귀찮은 이로 간주될 뿐이다. 결국 삼수도 조준구에 입김에 의해 죽는다. 봉순이와 길상이가 안타까웠는데 둘은 다툼 이후 관계를 회복하지 못하고 헤어지고 만다. 조선땅을 버리고 간도로 이동하게 된 평사리 사람들. 조준구 부부만 잘 먹고 잘 사게 되는 것 같아 안타깝다.
 
4권의 역사적 배경은 러일전쟁, 한일의정서와 을사늑약의 강제 체결, 고종의 강제 퇴위, 동양척식주식회사에 의한 경제 침탈, 군대 해산에 이은 전국적인 의병 봉기이다.
이 중 토지에서 두드러지게 보여주는 장면은 의병 봉기다. 이는 동양척식주식회사에 의한 국내 토지와 자본의 침탈이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조선의 기반 산업은 농업이었고 농민이 대부분이었다. 농민이 토지를 뺏기는 것은 먹고 살 길이 없어지는 것과 같다. 어찌 두고 보겠는가.
최참판 댁의 살림은 이미 조준구 부부가 차지하였고 그 밑에 있던 하인들은 부부의 입김에 따라 모두 쫓겨나거나 토지를 빼앗기고 만다. 이에 김훈장을 위시하여 이동진, 용이, 길상이 등은 분연히 들고 일어나지만 계란이 바위 치기라고 결과는 뒤집을 수 없었다. 조준구는 친일 관리들을 많이 알고 있었고 이들을 이용하여 자신들에 위협이 되는 세력들을 모두 제거한다. 악한 자들은 권력을 이용하여 잘만 사는 세상. 지금도 이는 바뀌지가 않는다는 게 씁쓸할 뿐이다.
 
"아닌 게 아니라 이번 서울 가보니 여간 긴박한 상태가 아니었더란 말이오."
"대관절 싸움은 누가 한다는 거요."
"누가 하기는요? 아, 그것도 짐작이 안 가시오? 아라사하고 일본이지 누구긴.
김생원께서는 잘 이해가 되지 않을지도 모르겠소. 이 조그마한 나라에서 그도 전라도 조그마한 고을에서 발단된 민란이 오늘날 일본과 아라사의 싸움 원인(遠因)이다. (...) 아무리 일본이 전승국이라고는 하나 대국 아라사와 불란서 독일의 삼국을 상대하여 이길 재간이 있었겠소? 문명이 앞서 있고 신식 무기로 무장한 그네들을 말이오. 게다가 영국하고 미국이라는 나라는 어부지리나 얻을까 싶어 관망하는 상태였으니 일본으로서는 눈물을 머금고 요동반도를 포기하지 않을 수 없었지요. 그때부터 일본은 아라사에 대해서 보복의 칼을 갈았던 게지요. 참으로 나라와 나라의 다툼이라는 것도 생각해보면 사람과 사람이 다투는 것과 조금도 다를 것이 없는 성싶소. " - P36~38
"수구파다 개화파다 쌈질이나 했지 나라 생각을 했던가요? 한심한 일이외다. 김생원께서도 이거 실례의 말씀인지 모르겠소만 상투 자르고 양복 입는 것만 대역이요 불효막심한 이라고 할 게 아니라, 또 양이니 왜구니 하고 유아독존의 말만 할 것이 아니라 조선땅의 수백 배나 넓은 세계가 어찌 돌아가는지 그것을 아셔야 한다 그 말이오." - P39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한다. 러일전쟁이 왜 발발했는지 배경을 살펴보자. 일본인들이 전보국과 우체사를 점탈했다. 그들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러시아와 내통하여 군사 기밀을 누설할까 싶어 두 기관을 점령한 것이다. 청국에서 의화단 사건이 발생한 뒤 러시아가 만주를 차지한다. 이에 영국 미국 독일이 청나라에 영토를 할양하지 못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일본은 여기에 보조를 맞추면서 반러시아 전선을 구축하며 1902년 일본은 영국과 영일동맹을 맺었다. 러시아는 1902년 4월 8일 만주를 청나라에 반환하고 군대를 철수시킨다는 내용으로 청국과 협정을 맺었으나 러시아는 남하하면서 만주에 대한 독점권과 몽고에 대한 간섭권을 의미하는 새 요구를 청에 제시한 것이다. 러시아의 의지는 일본에게는 위기이자 기회로 다가왔고 이는 전쟁의 불씨가 된다.
 
2월 8일<음력 12월 23일이다> 일본군 6천 명이 남양(南陽) 해안에 상륙했으며, 3천 명이 또 옥구(沃溝) 군산항으로 상륙하여 아산(牙山) 백석포를 향해 나아갔다. 또한 삼화(三和) 증남포항으로도 상륙했으며, 6천 명이 또 덕원(德源) 원산항에 상륙했다. 일본군은 부산 창원 대구 세 곳의 전보사(電報司)를 점거했다.
일본 외무 대신 고무라 주타로가 각국 공사 및 내외국 신문기자들에게 일본과 러시아가 교섭한 전말[日俄交涉始末]을 발표했다.『대한계년사 7권』 - P25
러시아 2등 순양함 와리야크호와 포함 코리에츠가 며칠 전 인천항에 와서 정박했다. 2월 8일 일본 군함 10여 척도 역시 팔미도에 도착해 정박했다.
2월 9일 인천항의 일본 영사가 러시아 군함에게 물러가라고 타이르기를, "거절한다면 오늘 오후 4시 이전에 물위에서 공격을 당할 것이다" 했다. 오전 7시쯤 일본 함대사령관이 러시아 군함에게 말하기를, "오후 4시 전까지는 인천항에서 물러가라" 하니, 러시아 함장이 큰 소리로 말하기를, "당장 팔미도 밖 해양으로 물러나가 전투를 벌이자" 했다. 러시아 포함이 먼저 닻을 거두어 올리고 순양함이 뒤이어 닾을 거둬 올려 출항했다. 오전 11시쯤 겨우 팔미도 밖으로 몇 리쯤 나갔는데, 한 발의 포 쏘는 소리가 쾅하고 굉음을 울리며 진동했다. 일본과 러시아 군함에서 나오는 연기와 불꽃이 하늘을 가득 덮쳤다. 『대한계년사 7권』 - P25~26
같은 날 인천항 주재 러시아 영사가 인력거를 타고서 서울의 러시아 공사관으로 들어 왔다. 이날 오후 4시 일본 군함이 여순(旅順) 항구를 습격하여, 러시아 전투함 두 척과 2등 순양함 한 척을 격파했다. 2월 10일<음력 12월 25일이다> 일본이 전쟁을 알리는 황제의 지시를 내렸다. 『대한계년사 7권』 - P27
 
"뭐라구요? 우리나라가 왜국하고 공수동맹(功守同盟)하기로 의정서에 도장을 찍었다 그 말씀이오?"
어느 날 서울 소식을 말해주는 조준구를 보고 그가 도장을 찍은 당사자이기나 하듯 김훈장은 펄쩍 뛰면서 화를 냈다.
"일본군이 제물포에 상륙하자 아라사 공사인 파블로프는 창황히 달아나고 장안을 활보하는 것은 무장한 일본 병정이니 무슨 수로 대적하겠소. 아닌 게 아니라 서울에선 그 의정서 까닭으로 민심이 소란해졌다 하더구먼요. 이지용대감댁(외무대신 서리)에 폭탄을 던진 사건도 있었다 하오."
그러나 사태는 그것으로 그치지 않았다. 친로파의 거두 이용익(李容翊)을 잡아 일본으로 데려갔다 하고 아마 살해되었으리라는 풍문이 있었다. 그리고 이등박문(伊藤博文)이 특파대신(特波大臣)으로 내한하면서 일본에 아부하는 세력이 커지게 되었다는 것이며 일군들이 주둔함으로써 넓은 땅이 군용지로 징발되고 통신망도 접수된 것은 이미 체결된 의정서에 의한 것이거니와 심지어는 군사행동과 아무런 관계도 없는 연해 어업권이며 전국에 흩어진 황무지의 개간 권리까지 일본 수중으로 떨어지게 되었다. 전황은 일본에게 유리하게 전개되어 압록강을 건너 구련성(九連城) 봉황성(鳳凰城)을 함락시켰고 여순항(旅順港)을 봉쇄했다는 것이다. - P46~48
 
1904년 2월 23일 한국이 일본의 강제로 인해 한일의정서를 맺게 된다. 전문 6조로, 일본으로 하여금 한국의 독립과 영토의 보증, 시설의 개선에 관한 권고 등을 비롯 일본군에 적극 협력하고 군사 전략상 필요한 지점은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다는 것 등의 조건이 들어가 있다. 이 중 4조의 내용이 가장 중요해 보인다. 일본이 나아갈 길에 조선이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말로는 친선과 우의를 강조하나 이것이 어딜 봐서 친선국에 대한 행세인가? 조약을 빙자한 침탈이 아닐 수 없다.
 
제1조 한국과 일본 두 나라 사이의 오래도록 변함 없는 친교를 유지하고 동양의 평화를 확립하기 위하여 대한제국 정부는 대일본제국 정부를 확신하여 시정 개선에 관한 충고를 받아들인다.
제2조 대일본제국 정부는 확실한 친선과 우의로써, 대한제국 황실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한다.
제3조 대일본제국 정부는 대한제국의 독립과 영토 보전을 확실히 보증한다.
제4조 제3국의 침해나 혹은 내란을 당하여, 대한제국 황실의 안녕과 영토의 보전에 위험이 생길 경우, 대일본제국 정부는 속히 형편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행할 수 있다. 그런데 대한제국 정부는 위의 대일본제국 정부의 행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충분한 편의를 제공한다. 대일본제국 정부는 앞 사항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군사 전략상 필요한 지점을 형편에 따라 수용할 수 있다.
제5조 대한제국 정부와 대일본제국 정부는 서로 간의 승인을 거치지 않고는, 앞으로 본 협정의 취지에 어긋나는 협약을 제3국 간에 맺을 수 없다.
제6조 본 협약에 관련되는 미비한 세부 조항은 대일본제국 대표자와 대한제국 외부 대신간에 형편에 따라서 협의해 결정한다. 『대한계년사 7권』 - P45
 
"듣자니까 민대감[閔泳煥]이 자결하셨다 하지 않소."
"어디 민대감뿐이겠소. "
"조병세 대감께서도."
"팔십 노구를 이끌고 가평서 올라와 정청(庭請)하다가 일본 헌병에게 쫓겨났다 하오. 그래 가마 속에서 음독 자결하신 모양이오. 홍만식 참판도 자결하고, 자결할 사람이 앞으로도 속출할 것이오. 이완용의 집에 불을 지르는 등 유생들이 들고 일어나는 둥."
"찢어 죽일 놈들! 노약에 도장을 찍은 다섯 놈들을 밟아 죽여야 하오!"
"독 안에 든 쥐 꼴이 되었지요. 일본은 오조약에 도장을 찍은 그 사람들 아니라도 얼마든지 오적(五賊)을 만들어낼 거요."
"세상에 협박 공갈하는 보호조약도 있답디까?" - P187~189
 
1905년 11월 이토 히로부미가 일본 천황의 특사로 서울에 왔다. 그는 천황의 칙서를 들고 왔는데 거기엔 동양의 평화라느니 조선의 안전이라느니 하는 말이 들어 있었다. 또 두 나라는 친선과 협조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조선은 일본의 보호를 받아야 한다, 일본은 황실의 안녕과 존엄을 확실하게 보장한다는 말도 들어 있었다. 고종은 이를 읽고 치를 떨었으나 어쩔 도리가 없었다.
이토는 며칠 뒤 한일협상조약을 내밀었다. 그 내용은 한마디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고 일본에서 이를 대신하며 외교사항을 관리하기 위해 일본인 통감(統監)을 둔다는 것이었다. 그 조항이 다섯 가지여서 을사5ㅈ도약이라고 부른다. 고종은 이토의 강압을 뿌리치고 서명을 거부했다. 『이이화 한국사이야기 19권』 - P164~165
 
11월 9일<음력 10월 13일이다> 일본 특파대사 이토 히로부미가 서울로 들어왔다. 11월 10일 황제를 만나 뵙고 일본의 국서를 삼가 바쳤다. 그 글에 이르기를, "나는 동양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대사를 특파했으니, 한결같이 대사의 지휘를 따라 조처하시기 바랍니다." 했다. 또 말하기를, "국가의 방비는 내가 튼튼히 할 것이요, 황실의 안녕도 보증한다." 했다. 나는 지금 천황 폐하의 명령을 받들고 와서, 귀국과 네 가지 큰 안건의 조약 문서를 체결하려고 하는 것이다." 하고, 드디어 그것을 내보였다. "하나, 황실을 안녕히 할 일. 둘, 한국의 외교권을 도쿄로 옮길 일. 셋, 한국을 통감부 아래에 둘 일. 넷, 통상조약은 예전대로 할 일."
'5조약'이 조인되었다는 말이 전파되어 나가자, 신사(紳士)와 인민 남녀 노소가 모두 매우 분격하여 치를 떨었다. 한숨을 쉬는 사람들과 길게 목놓아 통곡하는 사람들이 셀 수 없이 많았다. 『대한계년사 7권』 - P133~170
 
을사조약이 강압적인 분위기에서 이루어지면서 사실상 조선은 외교권이 박탈되었고 조선은 외국에 어떠한 권리도 주장할 수 없는 국가가 되었다. 이토 히로부미는 천황의 조서를 전달하며 고압적 자세를 유지하였고 일본은 동양의 평화를 유지한다는 명목 하에 조선의 외교권을 빼앗아갔다. 을사조약이 맺어지고 나서 백성들은 물론이고 많은 관료들이 울분에 차 자결하는 일이 일어났다.
 
을사보호조약으로 나라의 주권은 일본제국으로 넘어갔고 새로운 실권자를 추종하는 새로운 세력군이 형성되는 혼돈 속에 권력과 동반하게 마련인 경제의 유동, 그 중에서도 후일 대다수의 농민들이 피땀에 전 땅을 버리고 남부여대 기약 없는 유랑의 길을 떠나게 한 악명 높은 착취기관 동양척식회사 설립의 소지는 다져지고 있었다.
이런 내세에서 고고하게 현실에서 몸을 사리던 선비들이 그러나 강의(剛毅)하게 일어선 항쟁은 물거품이었고 1907년에 들어서서 헤아밀사사건(海牙密使事件)으로 허수아비에 지나지 않던 고종이 그나마 퇴위하는 비극과 훈련원에서의 조선 군대의 해산은 빈사의 목숨에 마지막 칼질이었다. 그로 인하여 참령 박승환(朴勝煥)은 자결, 이것이 도화선이 되어 무기고를 부수고 대한제국의 마지막 군인들은 남대문에서 일군과의 처참한 교전을 벌였다. 이 싸움에 서울로 일 갔었던 윤보가 뛰어들었던 것이다. - P338
 
1907년 7월 31일 이완용은 임금의 조칙을 날조해 군대 해산을 지시했다. 연성학교와 군악대까지 해산하도록 하고 시위대 1개 대대만 남겨 두었다. 서울에는 삼엄한 계엄이 펼쳐진 가운데 각 대장에게 8월 1일 오전 10시 맨손으로 군사 연습을 할 터이니 무기를 휴대하지 말고 모이라는 지시를 내렸다. 군인들이 병영을 떠나자 일본 군인들이 일본군 조교의 안내로 무기를 거두어 갔다. 시위대 제1대대장 박성환은 사태를 짐작하고 무기고에 굳게 자물쇠를 채우고는 무기를 일본 교관에게 넘겨주지 않았다. 그는 훈련원에 가지 않고 남아 있다가 군대 해산식이 있었다는 전갈을 받았다. 그는 통곡을 하며 "나라가 망했다"고 외치면서 칼로 배를 찔러 자결했다. 이를 본 부하 장교 두 사람과 군졸 한 사람이 그와 같은 방법으로 자결했다. 『이이화 한국사이야기 19권』 - P184~185
 
1908년에는 동양척식주식회사(東洋拓殖株式會社)를 설립해 토지를 침탈하고 관리에 나서도록 했다. 말이 주식회사이지 실제로는 통감부의 지원을 받으며 반관(半官)의 역할을 맡았다. 이 회사는 서울에 본점을 두고 도쿄와 지방에 지점을 두었다. 설립 초기 전국에 10개의 지점을 두고 통감부에서 약탈한 국유지를 인계받아 관리했다. 이들 토지는 주로 일본인에게 불하했다. 1909년 동양척식주식회사가 소유한 토지는 1만 2,064정보였다. 그러면 왜 도쿄에도 지점을 두었을까? 바로 일본인 농업이민을 주선하기 위한 공작이었다. 자본이 있거나 수완이 좋은 일본 농부는 농장주가 되어 많은 논밭을 가지고 조선인 노동자를 두고 농사를 짓거나 소작을 주어 소작료를 챙겼다. 이 무렵 일본인 농장주가 차지한 토지는 동양척식주식회사 소유보다 많은 3만여 정보를 헤아렸다. 일본 자본가들과 농장주들은 땅을 사서 부동산 투기를 일삼았다. 『이이화 한국사이야기 19권』 - P189
 
항일투쟁은 을사조약을 거친 뒤 고종의 양위, 정미7조약, 군대해산, 토지 탈취 등의 사건을 거치며 단계적으로 고양되었다. 관동, 호서, 영남지방에서 의병이 일어나고 서울 동쪽 여러 고을에서도 일시에 호응했다. 왜인들이 연달아 정병을 뽑아 토벌하게 했으나 지리에 어두워 진격하고 후퇴할 적에 길을 잃었다. 의병들은 천리에 연이어 험한 산세를 의지해 나오고 사라졌기 때문에 왜군들은 피로에 지쳐 패전을 거듭했다. 『이이화 한국사이야기 19권』 - P203
일본 토벌대와 현지의 수비대들은 의병들에게 패전을 거듭하자 무고한 민간인을 공격의 대상으로 삼았다. 하세가와 일본군 사령관은 "비도들과 연계해 도와 주는 고을은 불태워 버리고 온 동리 사람을 죽이라"고 엄포를 놓았다.
1907년 8월부터 12월까지 다섯 달 동안 충청북도에서는 민가 1,078호, 경기도에서는 769호가 불탔으며 제천, 홍천 등지는 수를 헤아리지도 못할 지경으로 마을이 잿더미로 변했다 한다. 이렇게 일본군 토벌대가 포악해지자 주민들은 일본군이 들어온다는 소문을 들으면 모조리 산 속으로 숨었으며 토벌대의 신문을 받은 동네 아낙네들과 주막집 노파는 벌벌 떨며 거짓말을 보태 일러바치는 일도 비일비재했다. 하세가와는 토벌대를 증강하고 농촌에 수비대와 헌병분견소를 증설했으며 남해 일대에는 수뢰정, 경비정을 배치해 놓았다. 그리고 의병들의 보급로를 차단하는 작전을 더욱 강력하게 펴서 마을을 고립시켰다. 이것이 남조선 대토벌작전의 전초였다. 『이이화 한국사이야기 19권』 - P205
 
고종은 헤이그에 특사를 파견하는 시도를 했다가 일본의 입김에 의하여 강제 퇴위를 당하고 이후 정미 7조약, 군대 해산, 동양척식주식회사에 의한 토지 침탈이 이루어지며 국내 정치, 경제를 잠식해갔다. 이에 유생을 비롯한 농민들은 의병을 일으켰으며 서울에서 시작된 것이 전국으로 확대되기에 이른다. 일본은 초반에 의병의 세력들을 물리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의병들은 동에 번쩍 서에 번쩍 하는 행위로 일본군을 끊임없이 괴롭혔다. 이제 일본군은 조선 의병들을 해치우지 않고는 안된다는 생각을 하기에 이른다. 남조선 대토벌작전은 그렇게 이루어졌다.
 
4권을 마지막으로 평사리에 있었던 최참판댁 식구들은 조선 땅을 버리고 모두 간도로 이동하게 된다. 외국에서의 삶이 어찌 쉬울까. 안 봐도 쉽지 않을 거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과연 그들의 행적은 어떻게 될까 궁금해진다.

'리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제국 일본의 동아시아 공간 재편과 만철 조사부  (1) 2022.10.04
[책] 하버드 C.H.베크 세계사 1350~1750  (1) 2022.10.04
[책] 토지 3  (1) 2022.09.30
[책] 노생거 사원  (0) 2022.09.27
[책] 오랑캐의 역사  (2) 2022.09.26